IT 공부방

  • 홈

악성코드 분석/파일 포맷 1

[악성 코드 분석] PE (Portable Executable) 기초

PE포맷 이란? 윈도 운영체제에서 사용되는 실행파일(exe), DLL Object코드, FON 폰트 파일 등을 위한 파일 형식입니다. OE파일은 윈도우 로더가 실행 가능한 코드를 관리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캡슐화한 데이터 구조체입니다. PE(Portable Executable) 말 그대로 옮겨다니면서 실행 가능한 파일 MS에서 다른 운영체제와 이식성을 좋게 하게위해 만든 파일 포맷 방식 PE 파일의 종류 실행, 드라이버, 라이브러리, 오브젝트 총 4개의 계열이 있습니다. 실행 계열 : EXE, SCR 드라이버 계열 : SYS, VXD 라이브러리 계열 : DLL, OCX, CPL, DRV 오브젝트 계열 : OBJ PE 파일의 기본 구조 메모리에 적재(loading 또는 mapping) 될 때의 모습 PE F..

악성코드 분석/파일 포맷 2019.12.02
이전
1
다음
더보기
프로필사진

IT 공부방

  • 분류 전체보기
    • IT
      • 보안 용어
    • linux
      • CentOS
    • study
      • Android
      • C언어
      • Spring
      • C++
      • FrontEnd
      • JavaScript
      • DB
    • 악성코드 분석
      • 정적 분석
      • 동적 분석
      • 리버스 엔지니어링
      • 파일 포맷
      • 악성코드의 종류
    • IDS,IPS
      • snort rule 추가
    • Network
    • kubernets

Tag

윤성우 열혈 C++ 프로그래밍,

최근글과 인기글

  • 최근글
  • 인기글

최근댓글

공지사항

페이스북 트위터 플러그인

  • Facebook
  • Twitter

Archives

Calendar

«   2025/07   »
일 월 화 수 목 금 토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방문자수Total

  • Today :
  • Yesterday :

Copyright ©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

티스토리툴바